인간 활동으로 인한 각종 폐기물과 부산물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를 급격히 높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미 동,식물들의 서식지가 변화하고 멸종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 변화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분석해보자.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과 : 주된 원인은 인간 활동
과학자들은 1950년 이후의 온난화의 주된 원인이 인간 활동임을 명확히 밝힌 바 있다.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는 자연적 요인 보다 훨씬 터 큰 영향을 주어 지우 평균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양 1.1°C 상승 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 외 기후 변화의 주된 원인은 화석 연료 사용, 무분별한 벌채, 축산업 확산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요인과 태양 복사량 변동, 화산 폭발, 지구 공전 궤도 변화 등 자연적 요인이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와 같은 온실가스가 대기 중에 축적되면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내리고,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며, 극단적인 기후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 지역의 생물 서식지와 생태계 구조에 큰 변화를 초래하여 생물 다양성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생물 다양성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
현재 지구의 생태계는 180만년 동안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강수량의 변동으로 진화 등 자연 적응 전략을 선택해왔다. 과거의 기후 변화는 인류의 활동에 따른 영향 없이 오랜 기간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건축, 도로 건설 등으로 일어난 서식지 파괴는 과거 많은 생물이 살던 생태계를 제한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간빙기의 온도를 넘어서는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은 더욱 커질것으로 예상된다.
1. 서식지 파편화
기후 변화는 생물 서식지의 물리적, 환경적 조건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산림지역은 점차 사막화되거나 열대우림이 축소되고 있으며 극지방에서는 빙하가 녹아 북극곰과 같은 토착 동물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 서식지 파편화는 해당 지역의 기후에 의존하는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여 생태계를 무너뜨린다.
2. 생태계 교란
온도와 강수량 변화는 생태계 내 상호작용을 교란한다. 지구상 어디든 생물이 살고 있는 곳이라면 극지방같이 극한적인 환경부터 심해와 고산에 이르기까지 생물다양성을 찾아볼 수 있다. 모든 생물은 살아가기 위해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필요로 하며, 생물종의 이동, 감소, 멸종은 먹이그물 전반에 영향을 미쳐 생태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생물들은 한 가지를 먹는게 아니라 다양한 먹이를 먹을 수 있으므로 먹이 사실에 포함되는 생물이 다양하게 얽혀 있을수록 더 안정적이다. 만약 기후 변화로 인해 한 생물이 멸종하면 먹이 사슬에 연결된 다른 동식물들도 그 영향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어 생태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는것이다. 예를 들어 날개로 원거리 이동을 하는 철새는 기후변화에 더 민감하다. 번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해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생장 주기가 달라지거나 번식하지 못하여 서식 범위나 개체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3. 종의 분포 변화
기후 변화는 생물들이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찾아 이동하도록 만든다. 그러므로 이동 능력이 제한적인 종은 서식시를 잃을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이는 기후 변화 아래 더욱 많은 종의 이동 능력을 교란시켜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개체수 감소를 야기시킨다.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 다양성이 감소하거나 외래종들이 유입되면서 생태계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4. 해양 생물 서식지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승은 산호나 조류 등 해양미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된다. 산호초는 많은 해양 생물들의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최근 산호 백화 현상이 급증하여 산호의 생장이 제한됨에 따라 많은 해양생물종이 서식지를 잃어가고 있다.
생물 다양성 위기 사례
1. 북극곰
기후 변화의 대표적인 희생자로 지구 온난화로 북극 해빙이 녹으면서 서식지를 잃고 있다. 먹이를 찾는 것이 어려워지고 이동 경로가 단절 되면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2. 아마존 열대우림
아마존은 기후 변화와 산림 벌채로 폭염과 가뭄이이어져 강수위가 점차 낮아지며 열대림의 면적 또한 점차 축소되고 있습니다. 장기화된 가뭄으로 인해 멸종 위기 종인 민물 돌고래가 집단 폐사하기도 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폭염 일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는 지역 생물 다양성뿐만 아니라 전 세계 탄소 저장 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해양 생물
지구 온난화로 해양 온도가 상승하면서 산호초가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황제펭귄이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를 수 있는 안전한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으며 먹이인 크릴 새우의 개체수도 감소하였다. 그 외에도 온도 민감도가 높은 어류 종은 높은 해양 온도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이용해야한 하는 위기에 처했다. 또한 바다 거북은 모래의 온도가 높아지면 부화하는 암컷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종의 장기적인 생존에 위협이 된다.
기후 변화 대응 방안
- 온실가스 감축 :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판 그린 뉴딜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지자체 차원의 여러 정책이 진행중인데, 그린 뉴딜은 기존의 화석 연료 중심의 산업 생산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말한다. 도시/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녹색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이 골자로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확대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서식지 보호 및 복원: 생물다양성은 그 자체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서식지보전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탄소를 저장하여 기후변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서식지를 보호하고 복원하는 행동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맹그로브와 같은 온전한 생태계를 보전하면 뿌리로 인해 해안 지반이 강화되어 홍수와 쓰나미같은 재난성 영향도 줄일 수 있다.
- 국제 협력: 우리 나라가 국내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기후 변화는 전 지구적인 문제이므로, 국가 기관 및 NGO를 비롯하여 글로벌 기업에서도 국제적인 협력과 조약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 지속 가능한 개발: 농업, 산업, 도시 개발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결론
기후 변화로 인한 생물 다양성 감소 문제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 지역사회, 국가, 그리고 범지구 차원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하다.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미래세계에 지속 가능한 지구를 물려주는 중요한 열쇠이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 금융 : 환경 목표 달성을 위한 tool (0) | 2025.01.30 |
---|---|
지속 가능한 식습관 : 대체육과 지구 (0) | 2025.01.28 |
탄소 발자국 줄이기 - 지구를 위한 한 걸음 (0) | 2025.01.25 |
친환경 건축과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 (0) | 2025.01.24 |
제로 웨이스트 생활법 : 지구를 살리는 마법 (0) | 2025.01.22 |